오늘은 미국 주식을 할 때 나오는 등
헷갈리는 핵심 경제 지표 용어를 한 번에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.
여러분은 미국 주식을 할 때 가장 먼저 보는 것은 무엇인가요?
해당 기업의 주가일 것입니다.
하지만 투자하기에 앞서 항상 살펴봐야 할 것이 있습니다.
바로 경제 지표이죠.
경제 지표를 보지 않고 주식 투자하게 되는 경우
주가의 변동 폭이 커지게 되고 그러면 대처하기 힘든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입니다.
따라서 경제 지표가 무엇인지 알아야
뉴스에 “오늘의 경제 지표가 상항/하향 조정되었다”라고 하더라도
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입니다.
그렇다면 경제 지표 용어를 살펴봐야 하는데요.
아래는 뉴스에서 자주 언급되는 단어들로 제가 정리해보았는데요.
해당 단어 뜻이 무엇인지 간략하게 짚고 넘어간다면 뉴스를 이해하는데 쉬울 것 같습니다.
용어 | 의미 | |
1 | GDP / 국내총생산 (Gross Domestic Product) |
각 나라의 생산된 모든 소득을 더한 값 |
2 | Inflation (인플레이션) |
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 |
3 | Deflation (디플레이션) |
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|
4 | Stagflation (스태그플레이션) |
침체(Stagnation) + 폭등(Inflation)의 합성어 경제가 침체되는 상황에서 물가가 상승하는 상태 |
5 | CPI / 소비자물가지수 (Customer Price Index) |
소비자가 판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 |
6 | PPI / 생산자물가지수 (Producer Price Index) |
생산자가 판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 |
7 | Retail Trade (소매 판매) |
소비자들이 소매점에서 구매한 상품의 수량과 가격을 종합하여 측정 |
8 | Industrial Product (산업생산) |
기업들이 생산한 상품의 수량과 가격을 종합하여 측정 |
9 | PMI / 구매관리자지수 (Purchasing Managers’ Index) |
기업의 구매 담당자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기업의 생산활동 수준을 측정 |
10 | 주가지수 |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 (예 : 다우존스, S&P500, 나스닥) |
11 | 미국 기준금리 |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결정하는 금리 (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반영) |
12 | 미국 국채 |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 (안정성이 높아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높음) |
13 | PCE (개인소비지출) |
개인이 소비한 지출액을 종합하여 측정 |
14 | 근원CPI / 근원소비자물가지수 (Core Consumer Price Index) |
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 |
이렇게 미국 주식 할 때 겪는 어려움인 경제 지표 용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성공적인 미국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경제지표 용어에 대해 잘 살펴보고 난 다음 투자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.
주식에 대한 체계적인 공부가 필요하다면,
[주식강의] 이기자의 주식코칭카페를 방문해봅시다.
[주식강의] 이기자의 진주같은 '주식... : 네이버 카페
증권투자권유대행인, '이기자의 주식코칭' 카페입니다. 차트분석 공부로 안정적이고 꾸준한 수익내기!
cafe.naver.com
단톡방 참여도 가능합니다. (참여코드 : 1592)
https://open.kakao.com/o/gOuKsu9b
유튜브 채널도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.
잃지 않는 주식 매매 어떻게 할까? #Shorts - YouTube
'주식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상대, 진주교육대 평생교육원 수강신청[주식차트분석강의 3월 개강] (1) | 2024.01.25 |
---|---|
미국 재무제표 용어 알아보기 2편 (2) | 2023.12.01 |
미국 재무제표 용어 알아보기 (3) | 2023.11.29 |
미국 주식 할 때 유용한 정보 찾는 법 (3) | 2023.11.28 |
미국 글로벌 유망 종목 선별 방법 (2) | 2023.11.27 |